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율리안 바이글

덤프버전 :

파일: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 로고.svg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1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2023-24 시즌|{{{-1 2023-24 시즌}}}]] [[틀: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1 스쿼드}}}]]
1 오믈린 (C) · 2 키아로디아 · 3 이타쿠라 · 4 두쿠레 · 5 프리드리히 · 6 크라머 (VC) · 7 헤어만
8 바이글 · 9 오노라 · 10 노이하우스 · 11 볼프 · 13 조르당 · 14 플레아 · 17 코네
18 라이너 · 19 은구무 · 20 네츠 · 21 지펠 · 22 프라울로 · 24 얀치케 · 25 하크 · 26 울리히 · 27 라이츠
28 라노스 · 29 스컬리 · 30 엘베디 · 31 츠반차라 · 33 니콜라스 · 34 노스 · 35 이탈리아노 · 38 보르게스 산체스 · 39 뵈버
41 올쇼프스키 · 43 브륄 · 45 발데 · 49 디머
파일:스위스 국기.svg 헤라르도 세오아네 · 파일:독일 국기.svg 올리버 뇌빌
* 이 표는 간략화된 버전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주세요.
*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에 변동이 있으면 두 틀 모두 수정해주세요.


파일:dfl-obj-00029n-dfl-clu-000004-dfl-sea-0001k6.png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 No. 8
율리안 바이글
Julian Weigl
출생1995년 9월 8일 (28세)
바이에른주 바트아이블링
국적
파일:독일 국기.svg

신체 조건 187cm / 체중 75kg
포지션수비형 미드필더[1]
소속유스SV 오스터뮌헨 (2001~2006)
TSV 1860 로젠하임 (2006~2010)
TSV 1860 뮌헨 (2010~2013)
선수TSV 1860 뮌헨 (2013~2015)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2015~2020)
SL 벤피카 (2020~2023)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 (2022~2023 / 임대)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 (2023~ )
국가대표파일:독일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6경기 (독일 / 2016~ )
SNS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1. 개요[편집]


독일 국적의 미드필더. 현재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에서 뛰고 있다.

과거 독일에서 가장 핫한 유망주 중 한 명이었다. 2015/16시즌에 보루시아 도르트문트로 이적하자마자 세간의 평가[2]를 뒤집고 유럽에서 가장 핫한 수비형 미드필더로 성장했다. 그러나 투헬이 떠난 후에는 전술에 적응하지 못하고 애매한 기량 속에 로테이션으로 추락했다.


2. 클럽 경력[편집]



2.1. TSV 1860 뮌헨[편집]


2013/14시즌 2군에서 승격되어 잉골슈타트 04 상대로 데뷔한 바이글은 2014/15시즌 1.FC 카이저슬라우테른과의 경기에서 주장 완장을 차고 나왔다. 당시 18살이었던 바이글은 1860 뮌헨 역사상 가장 어린 주장으로 기록되었다.


2.2. 보루시아 도르트문트[편집]


통산 171경기 4골 1도움

2015년 여름 2.5m의 이적료로 보루시아 도르트문트에 합류하였다. 2015/16시즌 분데스리가 올해의 유망주에 뽑힐 정도의 맹활약을 하며 도르트문트 중원의 미래로 평가받았지만 이후 부상의 여파를 이겨내지 못하고 쓸쓸히 도르트문트를 떠나게 되었다.

2.2.1. 2015-16 시즌[편집]


2015/16시즌 보루시아 도르트문트와 2019년까지 계약을 체결하였다. 그리고 토마스 투헬 체제에서 스벤 벤더를 센터백으로 밀어내며 주전으로 자리잡았다. 현재는 수비형 미드필더 자리에서 일카이 귄도안과 더블 볼란치로 출장하고 있다.

분데스리가 경력이 전무했던 경력과 20살이라는 어린 나이에도 불구하고 마치 30살 먹은 노련한 미드필더 같은 활약을 보여주고 있다. 성공률 90%에 육박하는 패스 능력은 물론이고 상대 역습을 재치있는 파울로 경고 없이 끊어내는 장면은 바이글의 좋은 태클 능력과 높은 축구 IQ를 여과 없이 보여주고 있다. 특히 올 시즌 처음으로 합을 맞추는 동료들이지만, 동료들과 연계 플레이도 잘한다.

귄도안과 더블 볼란치를 이루는 경기뿐만 아니라 혼자서 볼란치를 보는 경기에서도 좋은 스테미너를 바탕으로 자기 골대에서 상대편 페널티 박스 바로 밖까지 움직이며 엄청난 활동 능력을 보여주고 있다. 다만 휴식을 취하지 못해 젊은 나이인데 너무 혹사를 당한다는 것이 우려가 되는데, 도르트문트 선수들 중 가장 많은 경기 수를 출장했다. 다행히 후반기에 들면서 로테이션이 가동되기 시작했고 바이글도 휴식을 취하고 있다.

2015/16 시즌: 51경기(선발 42경기) 1도움

대회경기득점도움
분데스리가30--
유로파 리그12--
유로파 리그 예선4-1
DFB-포칼5--
합계51-1

2.2.2. 2016-17 시즌[편집]


2016/17시즌 보루시아 도르트문트와 2021년까지 계약을 연장했다. 도르트문트의 현재 전술인 4-1-4-1 지공 전술에서 수비형 미드필더 1자리를 차지하는 바이글의 역할은 전술의 코어라고 봐도 무방할 수준이다. 다만 그러다보니 바이글을 공략하는 것이 전술의 파훼법으로 드러났다. 2015/16시즌에는 권도안이 바이글의 압박을 덜어주고 배신자가 후방에서 빌드업을 해주었지만 지금은 바이글 혼자서 압박을 덜어내기 힘든 상황이 되었다. 라파엘 게헤이루가 메짤라로 뛸 때는 게헤이루의 뛰어난 침투력으로 어느정도 압박이 덜어지지만 게헤이루가 잔부상에 시달리면서 계속 압박을 받고 있다.

# 2016-17시즌 하이라이트
그래도 꽤나 준수했다.

하지만 아우크스부르크를 상대로 한 2016/17 시즌 분데스리가 33라운드에서 발목 부상을 당하며 시즌 아웃됐다. #

2017년 9월 23일 도르트문트가 묀헨글라트바흐를 6:1로 이긴 경기에서 79분에 페널티 박스 정면 바깥에서 중거리슛으로 한 골을 넣었다.

2016/17 시즌: 43경기(선발 38경기) 1골

대회경기득점도움
분데스리가30--
챔피언스 리그91-
DFB-포칼3--
DFL-슈퍼컵1--
합계431-

2.2.3. 2017-18 시즌[편집]


2018년 2월 현재 부상 여파로 인해 최악의 폼을 보여주고 있다. 포백 보호와 패스의 공급 둘 중 하나라도 정상인 부분이 없다. 심리적으로 위축된 탓인지 장점이었던 패스 공급도 다소 조급해보인다.

시즌 전반기야 보츠가 사실상의 바이글 원 볼란치에 무식한 닥공 전술을 써서 그랬다 치더라도, 슈퇴거가 오면서 수비적+ 안전지향주의적 전술로의 변화가 일어났음에도 불구하고 폐급의 호러쇼를 선보이며 경기를 말아먹고 있다. 보츠나 슈퇴거의 전술도 폐급이나 다를 바 없지만, 월클 선수로 성장할 것이라는 기대감을 생각한다면 굉장히 아쉽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주변에서 제 역할을 해줘야할 로데가 바이글 이상으로 폐급 호러쇼를 보이는 상황인 데다가, 쉬얼레는 말할 것도 없는 상황으로 막장이다.

결국 답도 없는 전술과 여러 선수들의 부진으로 시즌을 아쉽게 마무리했고, 2018년 6월 22일 도르트문트는 과거 묀헨글라트바흐에서 뛰어난 성과를 보였던 뤼시앵 파브르 감독을 선임했다.[3] 바이글이 파브르 감독의 전술에 호응을 해줄지 주목된다.

2017/18 시즌: 33경기(선발 26경기) 1골

대회경기득점도움
분데스리가251-
챔피언스 리그5--
유로파 리그2--
DFB-포칼1--
합계331-

2.2.4. 2018-19 시즌[편집]


2018 러시아 월드컵 폐막 후 토마스 딜레이니악셀 비첼의 새로운 합류로 입지가 현저히 좁아졌다. 시즌 시작 후 명단에서 제외되거나 교체 명단에만 포함되고 경기에 나서지 못하는 빈도가 많아졌다.

리그 5라운드 뉘른베르크전에서 교체 출전하여 중거리슛으로 시즌 첫 골을 기록했다. 경기 결과는 7:0 승리.

이후 리그 경기에 좀처럼 출전하지 못하다가[4] 리그 11라운드 바이에른 뮌헨전 선발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깜짝 선발, 파브르 감독의 도박이라는 평이 주를 이루었다. 그리고 좋은 모습을 보이지 못하고 45분에 교체되었다.

올 시즌 들어 무엇보다 자신이 가지고 있던 가장 큰 장점인 번뜩이던 패스웍이 눈에 띄게 안 좋아졌다. 한 마디로 존재감 제로.

28R 바이에른 뮌헨과의 경기에서 전반전에 호러쇼를 보여줬던 단악셀 자가두와 교체되며 센터백으로 후반전에 투입됐다. 수비력면에서는 여전히 의문이 들만한 모습을 보여줬는데 이 날 오랜만에 자신의 특기이자 가장 큰 장점인 좋은 패스들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롱패스는 수준급의 성공률을 보여줬고 후방 빌드업도 상당히 괜찮았다. 하지만 전반전에 승부가 이미 기울어져 버려서 크게 주목받지는 못했다. 최근에 도르트문트의 공격력은 창의성이 매우 부족해 보이는 상황이라 바이글을 잘만 이용한다면 빌드업의 클래스가 나름 올라갈 것으로 보인다.

후반기에 센터백 자리에서 보여준 준수한 모습 덕분에 잉여 자원 취급을 받았던 지난 시즌에 비해서는 확실히 입지가 나아졌다. 다음 시즌에는 중앙 수비수로서 더 많은 기회를 부여받을 것으로 보인다.

2018/19 시즌: 24경기(선발 21경기) 1골

대회경기득점도움
분데스리가181-
챔피언스 리그4--
DFB-포칼2--
합계241-

2.2.5. 2019-20 시즌[편집]


하지만 예상과는 다르게 마누엘 아칸지, 단악셀 자가두가 계속 주전으로 나왔다. 거기다 마츠 후멜스까지 새로 영입되며 바이글이 뛸 자리는 없었다.

결국 기대만큼의 성장세를 보여주지 못하며 벤피카 행이 확정되었다.

2019/20 시즌: 20경기(선발 19경기) 1골

대회경기득점도움
분데스리가131-
챔피언스 리그4--
DFB-포칼2--
DFL-슈퍼컵1--
합계201-

2.3. SL 벤피카[편집]


한국시간으로 2019년 12월 31일 새해 직전 구단간 합의가 끝났고, 메디컬 테스트만 남았다는 오피셜이 떴다.

이후 20m 유로의 이적료를 받고 SL 벤피카로의 이적이 확정되었다. 계약기간은 2025년 6월까지. 시즌 초반에만 해도 이미 망한 선수를 왜 데려오냐는 반응이 많았고 그 예상대로 초반에는 부진을 면치 못했지만, 최종적으로는 28경기 출장(23경기 선발 출장)에 패스 정확도 91%, 드리블 성공 90%와 공중볼 경합 성공 13회, 그리고 인터셉트 29개와 클리어링 29개, 찬스 메이킹 12회를 성공시키는 등 그럭저럭 활약하면서 벤피카 중원에 힘을 보탰다. 팀은 최종 순위 3위로 UEFA 챔피언스 리그 3차 예선 출전권을 획득했다.

현재 수비형 미드필더 자리를 보강하기를 희망하는 첼시 FC가 1년 이상 점찍어둔 1순위 데클란 라이스의 영입 어려움 및 가격적인 부담을 고려해 2순위로서 오렐리앵 추아메니와 율리안 바이글을 주목하고 있다.


2.3.1.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 (임대)[편집]


현지 시각 2022년 9월 1일,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로 임대 이적하며 오랜만에 분데스리가로 복귀하게 되었다.


2.4.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편집]


2023년 5월 5일,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로 완전 이적했다. 계약 기간은 2028년 6월 30일까지.# 이적료는 €7M.


2.4.1. 2023-24 시즌[편집]


2023년 8월 4일, 플로리안 노이하우스와 함께 부주장직으로 임명되었다.#

3. 국가대표 경력[편집]


2015/16시즌 맹활약을 바탕으로 유로 2016에도 출전했다. 꾸준히 뢰프 감독의 부름을 받고 있다. 한국 시간으로 2017년 3월 23일 새벽 4시 45분에 열리는 잉글랜드와의 친선 경기에도 선발 출전했다. 하지만 2018 러시아 월드컵 최종 명단에는 들지 못했다.

이후로도 소속팀에서 좋은 모습을 보여주지 못하면서 오랜시간 대표팀에 소집되지 못하였다.

벤피카에서 좋은 활약을 펼치며 오랜만에 2022년 3월 A매치 소집 명단에 포함되었다. 이스라엘과의 평가전에 선발 출전하여 일카이 귄도안과 더블 볼란치를 구성하였고, 후반 19분 안톤 슈타흐과 교체되었다.

4. 플레이 스타일[편집]


바이글은 뛰어난 축구 지능과 좋은 위치 선점을 이용한 지역 수비, 부드러운 발밑을 바탕으로 하는 볼 소유 및 간수, 90% 성공률에 육박하는 전진패스를 바탕으로 하는 후방 빌드업에서 두각을 드러낸다.

다만, 준수한 피지컬에 비해 이것을 활용하는 몸싸움 능력이 떨어진다. 물론 몸싸움에 밀려도 좋은 발밑 덕분에 공을 동료에게 연결해주는 모습을 보여주지만, 지상 경합은 물론 공중볼 경합에서 어이없이 나가 떨어지는 경우가 있다. 여러므로 FC 바르셀로나의 세르히오 부스케츠와 장단점이 비슷하다.

5. 수상[편집]



5.1. 우승[편집]



5.2. 개인 수상[편집]


  • 벤피카 올해의 선수 : 2020-21

6. 같이 보기[편집]


[ 펼치기 · 접기 ]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 2023-24 시즌
등번호 국적포지션 한글 성명 로마자 성명 생년월일 신체조건[1] 비고
1파일:스위스 국기.svgGK요나스 오믈린Jonas Omlin1994.01.10189cm, 80kg주장
2파일:이탈리아 국기.svgDF파비오 키아로디아Fabio Chiarodia2005.06.05
3파일:일본 국기.svgDF이타쿠라 코Ko Itakura1997.01.27186cm, 75kg
4파일:프랑스 국기.svgDF마마두 두쿠레Mamadou Doucouré1998.05.21183cm, 78kg
5파일:독일 국기.svgDF마르빈 프리드리히Marvin Friedrich1995.12.13190cm, 80kg
6파일:독일 국기.svgMF크리스토프 크라머Christoph Kramer1991.02.19191cm, 76kg부주장
7파일:독일 국기.svgFW파트리크 헤어만Patrick Herrmann1991.02.12179cm, 71kg
8파일:독일 국기.svgMF율리안 바이글Julian Weigl1995.09.08186cm, 75kg
9파일:프랑스 국기.svgFW프랑크 오노라Franck Honorat1996.08.11180cm, 69kg
11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MF하네스 볼프Hannes Wolf1999.04.16179cm, 69kg
14파일:프랑스 국기.svgFW알라산 플레아Alassane Pléa1993.03.10181cm, 79kg
17파일:프랑스 국기.svgMF마누 코네Manu Koné2001.05.17185cm, 80kg
18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DF슈테판 라이너Stefan Lainer1992.08.27175cm, 73kg
19파일:프랑스 국기.svgFW네이선 은구무Nathan Ngoumou2000.03.14182cm, 70kg
20파일:독일 국기.svgDF루카 네츠Luca Netz2003.05.15180cm, 73kg
21파일:독일 국기.svgGK토비아스 지펠Tobias Sippel1988.03.22183cm, 80kg
22파일:덴마크 국기.svgMF오스카 프라울로Oscar Fraulo2003.12.06180cm, 70kg
24파일:독일 국기.svgDF토니 얀치케Tony Jantschke1990.04.07177cm, 76kg
25파일:독일 국기.svgMF로빈 하크Robin Hack1998.08.27176cm, 68kg
26파일:독일 국기.svgFW루카스 울리히Lukas Ullrich2004.03.16180cm, kg
27파일:독일 국기.svgMF로코 라이츠Rocco Reitz2002.05.29
28파일:독일 국기.svgMF그란트레온 라노스Grant-Leon Ranos2003.07.20
29파일:미국 국기.svgDF조 스컬리Joe Scally2002.12.31184cm, 80kg
30파일:스위스 국기.svgDF니코 엘베디Nico Elvedi1996.09.30189cm, 81kg
31파일:체코 국기.svgFW토마시 츠반차라Tomas Cvancara2000.08.13190cm, 82kg
32파일:독일 국기.svgMF플로리안 노이하우스Florian Neuhaus1997.03.16185cm, 74kg
33파일:독일 국기.svgGK막시밀리안 브륄Maximilian Brüll2001.08.26187cm
34파일:아일랜드 국기.svgFW코너 노스Conor Noß2001.01.01181cm, kg
38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FW이반드로 보르게스 산체스Yvandro Borges Sanches2004.03.24175cm, 67kg
39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DF막시밀리안 뵈버Maximilian Wöber1998.02.04188cm, 80kg[2]
41파일:독일 국기.svgGK얀 올쇼프스키Jan Olschowsky2001.11.18182cm, 79kg
45파일:독일 국기.svgDF지몬 발데Simon Walde2005.01.14184cm, 69kg
49파일:독일 국기.svgGK플로리안 디머Florian Dimmer2005.01.15190cm, 80kg
구단 정보
회장: 롤프 쾨니히스 / 감독: 다니엘 파르케 / 홈 구장: 보루시아 파크
출처: 공식 홈페이지, 마지막 수정 일자: 2021년 9월 17일
[1] 전부 공홈을 기준으로 함.[2] 리즈 유나이티드 FC에서 임대



[1] 센터백도 가능하다.[2] "2부 리그에서 영입되었으니 즉시 전력감은 아닐 것이다."[3] 뤼시앵 파브르는 당시 자카와 크라머를 굉장히 잘 활용하여, 그 중 그라니트 자카는 아스날로, 크라머는 묀헨글라트바흐에 잔류에 성공했지만, 파브르 감독이 떠난 후, 크라머는 그저 그런 선수로 전락해버렸다.[4] 리그 7라운드 아우크스부르크전을 제외하고 리그 6, 8, 9, 10라운드 경기에 출전하지 못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2 15:50:24에 나무위키 율리안 바이글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